구글 워크스페이스 도입 배경
선생님들께서 잘 아시다시피, 코로나19의 확산(2020~2022)으로 학교 현장도 많은 변화를 겪었습니다. 특히 코로나 확산 방지를 위해 각 학교에서 등교 중지가 시행되었고, 이로 인해 학생들의 학습 결손이 우려되었습니다.
이러한 학습 결손을 방지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에듀테크입니다. 코로나 시기를 지나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도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등 다양한 기업들이 학생들의 온라인 교육 시장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구글 워크스페이스 시작하기
팝콘쌤이 재임용으로 첫 발을 디딘 서울의 학교에는 이미 구글 워크스페이스가 마련되어 있었습니다. 그래서 구글 워크스페이스가 구축된 학교에서 담당자가 해야 할 일에 대해 자세히 소개하겠습니다.
제가 진행한 구글 계정 관련 업무를 크게 나누면 다음과 같습니다.
<구글 계정 체크리스트>
1.
전입교사 계정 생성 및 권한 부여
2.
학생 아이디 생성
- 재학생(2, 3학년) 아이디 및 반 번호 전환, 신입생(1학년) 계정 생성
3.
학교운영위원회(구글 드라이브) 권한 부여
- 운영위원회(교직원, 학부모) 공유 폴더 권한 설정
위의 체크리스트별로 내용을 설명하겠습니다.
일단, 구글 최고 관리자로서 학교 구글 계정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관리 콘솔 사이트 접속이 필요합니다.
1. 전입교사 계정 생성 및 권한 부여
저희 학교의 이메일 도메인은 jungpyong.ms.kr입니다. 전입교사들을 위해 K-에듀파인 아이디를 발급합니다. 이후, K-에듀파인 아이디@jungpyong.ms.kr 형식으로 아이디를 생성해 드립니다. 초기 비밀번호는 12345678로 설정하여 전입교사들에게 전달합니다.
그룹과 조직 모두 교사로 설정합니다. 조직은 학교 내에서 교사, 학생, 강사 등의 집단을 구분하는 기준이 됩니다. 그룹은 권한 부여와 구글 워크스페이스에서의 단체 초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생성합니다.
2. 학생 아이디 생성
이런 식으로 전년도 1학년 학생들을 2학년 바뀌는 반으로 스프레드 시트를 작성했습니다. 사실, 팝콘쌤이 스프레드 시트를 다루는 실력이 부족해서 셀을 많이 넣은 것도 있습니다. ㅜㅜ
저희 학교는 아이디를 해당년도&학년&반&번호@학교도메인으로 구성하였습니다.
제가 속성별로 사용한 함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전0&반 : =IF(D3<10, "0"&D3, D3)
이전0&번 : =IF(E3<10, "0"&E3, E3) ⇒ 23
이전 이메일 : =$C$1&C3&I3&J3&"@"&Q3
조직 구분 : ="/"&O3&"/"&F3&"학년"&"/"&F3&"학년"&L3&"반”
새롭게 바뀌는 이메일 : =$E$1&N3&"@"&Q3
3. 학교운영위원회(구글 드라이브) 권한 부여
저희 학교는 구글 공유 드라이브를 통해 각 부서별 업무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업무나 문서를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이 있다는 것은 매우 유용합니다.
특히, 학교운영위원회에 속한 학부모 계정을 별도로 만들어 해당 드라이브에 자료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학교운영위원회가 열릴 때마다 학교에 있는 태블릿을 위원들에게 배부하여 자료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즉, 구글 공유 드라이브에 학교운영위원회 폴더를 따로 만들어서 자료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학교운영위원회 폴더에 들어갈 수 있는 권한을 제한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저는 다음과 같이 학교운영위원회에 속한 학부모와 교직원들에게 권한을 부여하였습니다.
위의 그림처럼 위원회 명단의 계정을 넣어주면 됩니다. 참고로 저희 학교는 학부모위원 및 위원회 교사는 뷰어 권한을 부여하고 관리자, 행정실장, 행정실 차석(계장)은 관리자 권한을 부여합니다.
구글 워크스페이스 활용 꿀팁
구글에 로그인했을때 오른쪽 상단에 앱 그리드(점 9개 아이콘)를 클릭하면 다양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위에서 계정 세팅을 하셨다면 이와 같은 편리한 기능을 사용 가능합니다.
1. 클래스룸
먼저, 클래스룸입니다. 수업을 만들고 학생들을 초대할 때 학생들의 아이디를 입력해 초대하거나 초대링크를 보여주고 들어오라고 해야 합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이 그룹으로 학생들을 설정하면 구글 클래스룸에서 수업을 만들고, 학생들을 한번에 초대할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클래스룸에서 수업을 만들고, 학생들을 초대할 때 이렇게 한번에 초대할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2. docs, slides(PPT), Sheets(Excel)
수업 중 프로젝트 수업으로 문서나 PPT 작성 혹은 엑셀을 활용한 데이터 분석 등 다양한 수업을 하고 계실 것 같은데요. 수업 중 학생들의 파일을 관리하는 데 어려움이 있지 않으셨나요?
docs, slides, Sheets는 자동으로 저장되어 구글 로그인만 할 수 있다면 언제든지 파일을 열어 볼 수 있고 친구들과 함께 공유하며 동시에 작업이 가능하여 관리하기에 좋습니다.
•
공유해서 작업하고 싶다면 공유를 누르고 Gyeonggi Office of Education이나 링크가 있는 모든 사용자를 통해 링크를 전달하고 작업하면 됩니다.
•
스마트 캔버스라는 기능입니다. @를 입력하면, 날짜나 공동 작업자인 사람을 태그할 수도 있고, 파일을 연결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체크리스트도 추가할 수 있습니다.
•
인터넷에서 정보를 복사해서 붙여넣기를 하는 경우가 많을텐데 그냥 붙여넣기를 하면 위와 같이 붙여넣기가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여기서 서식을 지정하지 않고 깔끔하게 붙여넣고 싶다면 단축키 [Ctrl] + [Shift] + [V]를 통해 아래처럼 깔끔하게 붙여넣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를 찾을 때 웹 페이지를 하나 여는 것이 아니라, 삽입 - 이미지 - 웹 검색으로도 가능합니다.
•
수많은 확장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하고 편리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공유를 통해 수업을 한다면 꼭 장난치는 학생들이 있습니다. ㅎㅎ 학생들에게 구글 계정을 세팅 후 제공하였다면, 마우스 오른쪽 버튼 - 수정 기록 표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google Colab
구글 코랩은 Jupyter 노트북 기반으로 GPU 등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구글 계정만 있으면 얼마든지 사용 가능하며, 소스 코드 또한 구글 드라이브에 자동으로 저장됩니다.
•
코랩은 GPU와 TPU를 무료로 제공합니다. 런타임 - 런타임 유형 변경에서 하드웨어 가속기를 GPU나 TPU로 선택합니다. 머신러닝, 딥러닝 수업을 통해 모델을 학습할 때 속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import numpy as np
from ipywidgets import interact
def plot_function(a, b):
x = np.linspace(-10, 10, 100)
y = a * x + b
plt.plot(x, y)
plt.title(f"y = {a}x + {b}")
plt.grid(True)
plt.show()
interact(plot_function, a=(-10, 10), b=(-20, 20));
Python
복사
•
ipywidgets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슬라이더 등을 활용하여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글 파일로 문서를 작성하다가 응답없음이 화면에 등장했는데 저장을 누르지 않았을 때의 아찔한 경험이 있지 않으신가요? ㅎㅎ 다양한 기능들이 있지만, 사실 자동저장이 최고인 것 같습니다. ㅎㅎ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앞으로 선생님들의 멋진 구글 워크스페이스 활용을 기대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