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도넛쌤입니다.
오랜만에 인사드리거 같아요 ㅎㅎ
저는 지난 학교가 고등학교라서 '빅데이터 분석' 교과를 지도 하였습니다. 제가 고등학교에서 빅데이터 분석을 가르칠 때, 교과서가 따로 없어서 길벗 출판사에서 나온 ‘모두의 데이터 분석 with 파이썬’ 이라는 책을 보조 교재를 사용했었습니다. 해당 도서는 파이썬 프로그래밍을 통해 빅데이터를 분석 해보는 내용을 담고 있는 교재입니다.
중학교에서는 파이썬을 하지 않아서 스프레드세트를 활용하여 빅데이터 분석을 해보면 어떨까해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수업을 진행해봤습니다. (2015 개정 교육과정 - Ⅱ. 자료와 정보 - 자료의 수집 & 정보의 구조화)
- 링크: https://m.yes24.com/Goods/Detail/72227684
목차
1부. 수행평가 전 4차시 수업이 어떻게 진행 됐는지 알아봅니다.
2부. 수행평가 4차시 과정이 어떻게 진행 됐는지 알아봅니다.
3부. 2022 개정 교육과정 교과에서는 코답을 활용해서 진행했습니다.
1부. 수행평가 전 4차시 수업 진행
자료의 수집 & 정보의 구조화 단원을 수업했습니다. 스프레드시트의 기본 기능, 자료의 수집, 다양한 방법으로 정보를 구조화하는 방법에 대해 실습했습니다.
1. 1~2차시 정보의 구조화1
학생들이 간단하게 스프레드시틀로 활용하여 다양한 구조화 방식을 실습했습니다.
가. 정보의 구조화 학습지
나. 학생이 작성한 학습지
2. 3~4차시 정보의 구조화2 - 인구 그래프 만들기
가. 자료 수집
행정안전부에서 우리동네 인구 현황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1) 행안부 주소: https://www.mois.go.kr/
[정책자료] - [통계] - [주민등록 인구통계] - [연령별 인구현황] - [전체읍면동현황] - [csv 파일 다운로드]
2) 전국 단위의 읍면동 데이터는 파일 크기가 너무 커서 경기도 일부 지역의 데이터만 갖고 실습을 진행했습니다.
나. 정보의 구조화
1) 우리 동네와 비교할 동네를 찾습니다.
2) 두 동네를 제외한 데이터는 삭제 합니다.
3) 이제 스프레드시트에서 [삽입]-[차트 삽입] 을 통해 구조화 해봅니다.
4) 가장 적절한 구조화 형태가 무엇인지 찾아 봅니다.
5) 위에 [1.] - [가.] - [2)]의 스프레드 시트 파일을 갖고 했고, 학생이 작성한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다. 보고서 작성
정보의 구조화를 한 결과를 바탕으로 보고서를 작성합니다. 우리 동네와 대비 되는 다른 동네에 그래프를 그려보고, 느낀점을 적어보게 구성했습니다.
1) 보고서 학습지
2) 학생이 작성한 보고서
마치며..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돌이켜보면, 고등학교에서 파이썬 기반의 전문 교과를 지도했던 경험이 중학교 정보 수업에 신선한 아이디어를 제공했지만, 처음 재구성할 때는 학생들의 눈높이를 맞추는 데 어려움도 있었습니다. '프로그래밍 없는 빅데이터 분석'을 어떻게 실질적인 교육 경험으로 만들 수 있을까 고민이 많았죠.
하지만, 스프레드시트를 활용하여 학생들이 직접 행정안전부의 방대한 데이터를 다루고, 차트를 통해 의미 있는 정보를 구조화하는 과정을 지켜보면서, 저 역시 교과서 밖에서 실생활과 연결된 컴퓨팅 사고력 교육의 가능성을 다시 한번 배울 수 있었습니다.
학생들이 단순히 차트를 만드는 것을 넘어, '우리 동네'의 인구 구조를 보고 사회 현상에 대해 궁금증을 갖는 모습은 정보 교사로서 큰 보람이었습니다.
다음 2부에서는 오늘 보여드린 4차시 수업을 바탕으로 진행한 '실제 수행평가(4차시) 과정'을 자세히 공유해 드리겠습니다. 자료 수집부터 보고서 작성까지, 학생들이 스스로 탐구하며 만들어낸 결과물을 기대해 주세요!
곧 2부에서 뵙겠습니다.
도넛쌤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