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

Github 따라 하기- 1. Git 이해 및 설치

생성일
2025/02/11 14:23
태그
#초코쌤
#프로그래밍
#협업
#공유
선생님 안녕하세요~
2022 개정교육과정 수업을 준비하던 중 위 성취 기준을 보고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공유, 협력, 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도와주는 Git, Github가 생각나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수업에서 코랩이나 Replit 등을 이용한다면 자연스럽게 코드 공유와 협업을 유도할 수 있지만 IDLE이나 visual studio code를 사용한다면 공유와 협업을 유도하기 어렵습니다.
이럴 때 코드 버전 관리, 협업에 유용한 Github를 사용해 보면 아주 편리하실 겁니다! 뿐만 아니라 이후 이공계를 진로로 생각하고 있는 학생들에게 현업에서 사용하는 Git을 접하게 해 줌으로써 전문성을 길러줄 수 있어 도움이 될 것입니다.

Github를 왜 사용해야 할까요?

팀 프로젝트
학생들이 팀을 만들어서 프로젝트를 할 때 여러 명이 동시에 작업을 하게 되면, 각자 작업한 내용을 하나로 합치는 것이 중요합니다. Github를 배우기 이전에는 코드를 복사하고 붙여 넣어서 팀장 역할을 하는 친구에게 전달해 하나의 파일로 합치는 과정이 필요했습니다. 하지만 GitHub에서는 각 팀원이 각자 작업한 파일을 업로드하고 저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코드를 간편하게 합칠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변경 사항을 추적하여 충돌되는 부분까지 해결할 수 있습니다.
버전 관리하기
GitHub를 사용한다면, 이와 같이 파일을 여러 개 만들 필요 없이 변경된 내용을 누적 기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코드를 잘못 수정하는 경우 문서 작성 되돌리기 기능처럼 기존 코드 버전으로 되돌릴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포트폴리오 관리
이공계나 컴퓨터 관련 분야에 관심 있는 학생들은 수업 외에 개인적으로 프로그래밍을 연습하거나 프로젝트를 진행해 보며 이미 다양한 작업물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자신이 작업한 내용을 한 번에 보여주기 위해 모으고, 정리하는 것도 하나의 일이 될 수 있는데요. 이럴 때 작업물을 자신의 Github에 올려놓으면, 한 번에 작업 내용이 모이고, 정리되기 때문에 Github 자체가 자신의 포트폴리오가 될 수 있습니다.

Git, Github, Github Desktop 이해하기

Git: 버전 관리 시스템으로, 코드의 버전과 변경 사항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글을 쓸 때 여러 차례 수정하고 덧붙이는 것과 비슷합니다. 글을 저장하고, 각각의 버전을 관리하여 이전 버전으로 돌아가는 기능을 지원합니다.
Github: Git을 사용하기 위한 온라인 플랫폼으로, 프로젝트를 인터넷에서 관리하고 원활하게 협업할 수 있게 돕습니다.
여러 사람이 하나의 글을 나눠서 쓸 때, 서로 수정한 내용을 온라인에서 공유하고, 함께 작업할 수 있도록 해주는 도구입니다.
Github Desktop: Github와 Git을 더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데스크탑 프로그램입니다. 명령어나 Github 홈페이지를 잘 몰라도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클릭 몇 번으로 글을 업데이트하고 공유하도록 도와주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설치를 최소화하고 이해하기 쉽게 많이 사용하고 계실 IDLE로 실습을 진행하겠습니다.
IDLE란 파이썬을 위한 간단하고 쉬운 통합 개발 환경입니다. 쉽게 말해, 우리가 발표 자료를 만들기 위해 PPT를 사용하고, 문서 작성을 위해 한글 등의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처럼 프로그래밍을 하기 위한 프로그램입니다.

IDLE(Integrated Development and Learning Environment) 설치하기

이미 IDLE가 설치되어 있다면 ‘ git 설치하기’부터 따라하시면 됩니다.
① ‘https://www.python.org/downloads/’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② [Download Python]을 누르고 다운로드 된 파일을 실행하여 [Install Now]를 클릭합니다. 과정을 따라하며 Python을 설치합니다.
③ 설치가 완료되었다면, IDLE을 실행합니다.

git 설치하기

① ‘https://git-scm.com/’사이트에 접속합니다.
② Git 홈페이지 우측 하단 [Download for Windows]를 클릭합니다.
③ 설치하려는 컴퓨터 사양에 맞게 Installer를 설치합니다. 저는 64bit기 때문에 ‘64-bit Git for Windows Setup.’을 설치하겠습니다.
컴퓨터 운영체제 확인 방법: 파일 탐색기 - 내 PC 우클릭 - 속성 - 시스템 종류
④ Installer를 실행하여 Git을 설치합니다. 마지막 설정 옵션에서 [View Release Note]에 체크를 해제한 후 [Finish]를 클릭합니다.
⑤ 설치를 완료한 후 윈도우 검색창에 ‘git bash’를 검색하여 실행합니다.
⑥ ‘git’이라는 명령어를 입력했을 때 아래와 같은 메시지가 나타나면 성공적으로 git이 설치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github 가입하기

① ‘https://github.com/’ 사이트에 접속하고 회원가입 후 로그인합니다.
② 오른쪽 상단에 자신의 아이콘을 눌러봅니다.
처음에는 왼쪽에 Repository가 하나도 없습니다. 프로젝트가 쌓이면, 자연스레 Repository도 프로젝트의 수만큼 늘어나게 됩니다.
③ [Your profile]을 누르면 내 프로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곳에서 자기소개 및 레포지토리(Repository), 커밋(Commit) 기록 등을 볼 수 있습니다.
레포지토리와 커밋이 뭔데?
레포지토리: 개발 프로젝트당 레포지토리 1개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폴더(위 그림의 test)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커밋: 변경사항들을 적어두는 동작을 의미합니다. 커밋을 활용하면 위 폴더에서 보고서의 버전을 업데이트 해서 저장할 때 최종, 최종1과 같이 버전의 이름을 적지 않고 실제로 새로운 버전에서의 작업 내용을 적어둘 수 있습니다.

글을 마치며

여기까지 Git, Github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Github 따라 하기 시리즈는 편하게 보시면서 동아리나 수업 중 팀 프로젝트에서 코드 협업이 필요하거나 이공계를 희망하는 학생들에게 전문적으로 알려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3월에는 간단히 이해하고 설치 정도만 해 보고, 이후 Github에 Repository를 만들고 통합 개발 환경을 통해 코드를 작성하여 자신의 저장소에 올리고 수정 사항을 확인하는 실제 실습 글로 돌아오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