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중학교에서 중1 쪼꼬미들을 가르치고 있는 젤리쌤입니다! 🫡
대상이 중1인지라 데이터 분석 단원을 가르칠 때 실생활과 연결지을 수 있는 주제로 최대한 쉽게 수업을 진행하려 노력하고 있는데요. 데이터 분석에 대해 학생들의 흥미를 확 끌 수 있는 활동을 구상하다가 포털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빅데이터 분석 서비스에 대해 알게 되었습니다. 오늘은 포털사이트의 빅데이터 분석 서비스 활용 수업 사례를 소개해 보겠습니다.
Chat gpt
네이버 데이터랩 소개
네이버 데이터랩은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빅데이터 분석 서비스로, 2007년 1월부터 지금까지의 네이버 검색량을 모아놓은 빅 데이터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쉽게 데이터를 비교하고 분석할 수 있으며, 통계청과 공공데이터 등 13만 건의 데이터도 쉽게 찾아볼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검색어트렌드, 쇼핑인사이트, 지역통계, 댓글통계 네 가지 기능을 제공합니다.
검색어트렌드
쇼핑인사이트
지역통계
댓글통계
데이터랩을 활용한 수업 사례
1. 데이터랩 사용법 익히기
일단 사이트 사용법에 대해 학생들에게 간략히 설명하고 구경해볼 수 있는 시간을 주었습니다. 짝꿍과 함께 2인 1 태블릿으로 활동을 진행하게끔 하였습니다.
2. 데이터랩 사용 미션
어느 정도 사이트 탐색이 끝났으면 간단한 미션을 주었습니다. 많아 보이지만 미션1, 2, 3 각각 5분 정도씩만 주면 금방 다 찾더라고요.
•
미션1: 댓글 통계 사용하기
1.
남녀 중 댓글을 더 많이 다는 성별은?
2.
IT 뉴스에 댓글을 가장 많이 다는 연령과 성별은?
3.
가장 많은 댓글이 달리는 뉴스 분야는 무엇일까?
4.
하루에 댓글 달리는 개수가 평일과 주말 중 언제 더 많을까?
5.
추가미션: 대선과 같이 사회적 이슈가 있는 날짜를 주며 이 날짜에 댓글이 많이 달렸던 원인이 무엇일까 유추하게도 해보았습니다.
▪
미션2: 지역 통계 사용하기
1.
서울시 강남구 인기 업종 중 패션, 뷰티 관련 업종에 제일 관심이 많은 동을 순서대로 3개 찾으세요.
2.
추가 미션: 학교 근처로 시와 구를 변경해서 찾도록 하였습니다.
▪
미션3: 쇼핑인사이트 사용하기
1.
10대 여성이 많이 쇼핑하는 에세이/시 도서 1~5위를 찾아라
2.
10대 남성이 많이 쇼핑하는 에세이/시 도서 1~5위를 찾아라
3. 데이터랩 기능 중 검색어트렌드 사용 미션
사실상 앞의 미션들은 학생들의 흥미를 끌기 위한 간단한 활동들이었고, 이제 본격적으로 데이터 분석을 통한 트렌드 파악 활동하기를 진행하기 위해 먼저 간단한 미션을 통해 검색어트렌드 사용 방법을 익히게끔 하였습니다.
<검색어트렌드 사용하기>
작년 한 해 취미 활동에 대해 검색어 트렌드를 활용하여 데이터 분석하기
1.
주제어와 연관 주제어 정하기
ex) 주제어(분석하고 싶은 항목): 캠핑
연관 주제어(주제어와 관련된 검색어들): 캠핑, camping, 캠핑용품, 겨울캠핑, 캠핑장, 글램핑, 오토캠핑, 캠핑카, 텐트, 캠핑요리
→ 연관 주제어를 모두 하나로 합산하여 해당 주제어가 네이버에서 얼마나 검색됐는지 조회
2.
분석 기간, 범위 정하기
ex) 분석 기간: 2024.01.01 ~ 2024.12.31
범위: 모바일, PC 전체 / 성별: 전체 / 연령: 전체
<검색 결과 화면>
3.
검색 결과를 통해 유추해 보기
<학생들 유추 사례>
캠핑은 야외 활동이다 보니 날씨 영향을 많이 받아 날씨가 선선한 4~5월, 9~10월에 캠핑 검색량이 늘어났을 것으로 보임.
봄보다 가을에는 태풍의 영향으로 검색량이 비교적 적었을 것으로 보임.
4.
어떤 취미 활동이 인기일지 5가지 주제어 넣어 분석해 보기
캠핑 말고 다른 주제어도 넣어 비교하고 분석해 보게끔 하였습니다.
<검색 결과 예시 화면>
유의 사항: 어느 한 주제어만 독보적으로 검색량이 많으면 다른 주제어의 검색량은 의미 있게 나타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ex) 축구 주제어를 넣으면 축구만 압도적으로 많은 검색량이 나타나 다른 데이터가 보이지 않음
5.
추가 미션
일찍 끝난 학생들이 있다면 검색 결과가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분석해 볼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4. 검색어 트렌드 활용 데이터 분석 활동
1) 데이터 분석 주제 정하기
2) 주제어, 연관 주제어 정하기 (5개 이상)
3) 분석 기간, 범위 정하기
4) 검색 결과 분석 및 공유
4~5인으로 모둠을 구성하여 4개의 단계로 분석 활동을 진행하였습니다. 1단계 주제 정하기를 제일 어려워해서 예시 주제를 제공해 주고 돌아다니면서 힌트를 주어야 합니다.
다만 나중에 알게 된 것이 트렌드 분석할 때는 네이버 데이터랩보다는 구글 트렌드를 활용하는 것이 더 쉬웠습니다. 다음에 활동을 진행한다면 구글 트렌드를 활용할 예정입니다.
<네이버와 구글 트렌드 분석 비교>
•
네이버 데이터랩은 단순히 검색량 비교만 가능합니다.
•
구글 트렌드는 검색량 비교와 더불어 지역별 비교 분석, 주제어가 어떤 검색어로 검색량이 급등했는지도 분석하여 알려줍니다.
<학생들 활동 결과 예시>
짧더라도 데이터를 보고 왜 검색량이 증가했는지, 왜 검색량에서 차이가 나는지 등등 유추해보고 검색하며 분석하게 하였습니다.
추가적으로 일찍 끝난 모둠은 본인 모둠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미래도 예측해 볼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수업 후기
데이터 분석 툴을 활용하여 분석하는 활동은 아니라 체계적인 분석은 어렵고 학생들이 분석한 결과에 대해 사실 확인이 필요하지만, 중학생 수준에서 데이터 분석에 흥미를 갖고 중요성을 인식하게 하기에 좋았던 활동이라고 생각합니다. 활동을 진행하며 학생들이 여러 주제어에 대해 검색량을 비교하며 왜 이 시기에는 검색량이 증가했을까 스스로 의문을 갖고 유추하고 검색하며 분석하는 모습이 인상 깊었습니다.
저는 네이버의 데이터 분석 서비스를 중점으로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하였지만, 구글 등 다른 사이트의 서비스도 비교해서 더 적절한 사이트를 활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