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귤쌤
입니다.
올해 고1을 담당하신 선생님들, 어느 지역에 계시든, 어떤 업무를 담당하시든 다 같이 한숨 한 번 같이 쉬실게요.
고교학점제 첫해를 맞이하여 정말 고된 첫 학기를 보내고 계시죠? 모든 선생님들께 위로와 응원을 보냅니다. 저 또한 올해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1학년 교과 및 담임을 맡아 고군분투 중입니다. 
우리 학교는 1학년 1학기에 정보, 1학년 2학기에 인공지능 기초 교과가 3학점씩 기본으로 편성되어 있습니다. 3학년 편성 학점을 줄이고 학년 편성 학점을 늘렸기 때문에 가능했던 편제입니다. 또한 설문조사를 통해 학부모, 학생의 의견을 수합하여 집중이수제를 없애고 정보 교과로 편성하는 작은 진통을 겪었습니다.
2022개정 교육과정의 정보 교과를 처음 만난 소감과 담당 후기를 편안하게 공유할게요!
2022개정 정보 교과 교육과정에서 크게 다르다고 느끼는 점은 인공지능과 관련된 부분입니다.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 인공지능 기초라는 교과로 가르쳤던 내용의 일부가 정보 교과안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교과 역량으로도 인공지능 소양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정보 교육과정 다운로드
우리 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정보 교과서의 목차 부분입니다. 인공지능 단원과 데이터 단원이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옵니다.
2015개정 교육과정 vs. 2022개정 교육과정
2015개정 | 2022개정 |
I. 정보 문화 | I. 컴퓨팅 시스템 |
II. 자료와 정보 | II. 데이터 |
III. 문제해결과 프로그래밍 | III.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 |
IV. 컴퓨팅 시스템 | IV. 인공지능 |
V. 디지털 문화 |
대단원 명을 비교해 보아도 인공지능과 데이터 부분이 추가된 것을 한눈에 알 수 있습니다.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 부분에서도 정렬과 탐색이라는 알고리즘이 추가되는 등 단원 내의 내용 또한 변경이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가르쳐야 할 내용은 증가했다고 느껴집니다. 단원 수도 실제로 늘어났고요. 현재 사회의 흐름에 따라 인공지능에 대한 학습을 강조하는 부분이 적극 반영되었다고 생각됩니다.
우리 학교는 1학년 2학기에 인공지능 기초가 편제되어 있어 1학기 정보 수업에서는 인공지능을 비중 있게 다루지 않을 생각입니다. 하지만 인공지능 기초가 공통으로 편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정보 교과에서 인공지능 단원을 다뤄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또한 그런 경우 모든 내용을 소화할 수 있을까 하는 의문도 사실 드는 부분이에요. 교육과정 내의 모든 내용을 가르치고 싶지만 현실적 요건은 녹록하지 않습니다. 한 학기 3단위 편제로는 어려운 부분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더욱이 올해 고등학교 1학년 부터는 고교학점제 실시에 따라 한 학기를 마치면 세부능력 특기사항을 작성해야 하지요. 숨가쁘게 흘러가는 나날입니다.
아직 한 학기가 마무리되진 않았지만, 제 나름대로 학교 안에서 고민하여 결정한 2022개정 정보 교과 수업 내용을 부끄럽지만 공유해 봅니다. 학교 건물 이사라는 빅 이슈로 인하여 다른 학교에 비해 학사일정이 늦어지는 상황입니다.
우선 V. 디지털 문화 단원으로 시작하여 디지털 기술의 종류와 사회적 영향력에 대한 모둠 활동을 진행하였습니다. 기술과 관련한 윤리적 쟁점을 도출하여 논술 평가로 연계하였습니다.
이후 III.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 단원을 본격적으로 시작하며 파이썬 기초 프로그래밍 수업을 진행하였습니다. 코들 플랫폼을 활용하여 수업 자료 및 문제를 제작하였고 반복문까지 진도를 나가 수행평가로 연계하였습니다.
III.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 단원의 정렬, 탐색 알고리즘을 학습한 후 수행평가로 연계하여 진행하였고,
마지막으로 II. 데이터 부분의 시각화 부분을 엑셀로 학습한 후 수행평가로 연계할 계획으로 진행 중에 있습니다.
인공지능과 관련된 내용, 데이터 시각화를 파이썬으로 하는 내용은 2학기 인공지능 기초 교과에서 다룰 예정입니다. 처음 맞이하는 교육과정이고, 고교학점제와 관련이 깊은, 세상 피곤한 고1 출결과 마주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남은 학기 어떻게든 알찬 수업을 만들어 보겠다고 다짐해 봅니다.
각자의 자리에서 열심히 지도하고 계신 모든 정보 선생님들께 응원의 마음을 보냅니다! 